
《새국어교육》투고 규정 |
|||||||||||||||||||||||||||||||||||||||
제1조 |
논문 투고는 한국국어교육학회 회원에 한한다. 동일인이 학회지에 2회 연속으로 투고하여 게재할 수 없다. |
||||||||||||||||||||||||||||||||||||||
|
|||||||||||||||||||||||||||||||||||||||
제2조 |
[새국어교육]은 매년 3월 30일, 6월 30일, 9월 30일, 12월 30일, 연 4회 발간하는 것을 원칙으로 한다. |
||||||||||||||||||||||||||||||||||||||
|
|||||||||||||||||||||||||||||||||||||||
제3조 |
논문 접수 마감은 매년 1월 31일, 4월 30일, 7월 31일, 10월 31일을 원칙으로 한다. |
||||||||||||||||||||||||||||||||||||||
|
|||||||||||||||||||||||||||||||||||||||
제4조 |
투고는 국어교육학, 한국어교육학, 국어학, 국문학과 그와 관련된 융합 학문 분야와 관련된 것으로 다른 학술지에 발표되지 아니한 독창적인 내용의 논문이어야 한다. |
||||||||||||||||||||||||||||||||||||||
|
|||||||||||||||||||||||||||||||||||||||
제5조 |
① 논문 작성은 국문 또는 영문으로 작성하며, 아래한글 2002 이상 버전을 원칙으로 한다. |
||||||||||||||||||||||||||||||||||||||
|
|||||||||||||||||||||||||||||||||||||||
제6조 |
접수된 원고는 본 학회의 심사를 거쳐 게재 여부를 결정하며, 접수된 원고는 반환하지 않는다. |
||||||||||||||||||||||||||||||||||||||
|
|||||||||||||||||||||||||||||||||||||||
제7조 |
① 투고 시에는 심사료 60,000원을 학회로 입금하여야 한다. |
||||||||||||||||||||||||||||||||||||||
|
|||||||||||||||||||||||||||||||||||||||
제8조 |
① 저작권 양도 동의서 : 투고 시 저자는 ‘저작권 양도 동의서’를 작성하고 서명하여 학회 논문투고시스템에 제출해야 한다. 학회는 게재가 확정된 논문을 >새국어교육<에 게재하여 출판하고 기타 매체(CD, 인터넷 파일 등)로 제작할 수 있다. 이 과정에서 발생하는 수익은 학회 예산으로 편입한다. ② 논문 유사도 검사 결과서 : 투고 시 저자는 KCI 문헌 유사도 검사 서비스(https://check.kci.go.kr/)를 통하여 ‘논문 유사도 검사 상세 결과서’를 학회 논문투고시스템에 제출해야 한다. |
||||||||||||||||||||||||||||||||||||||
|
|||||||||||||||||||||||||||||||||||||||
제8조 |
논문 분량은 200자 원고지 100-120매 정도로 한다. 다만 120매 초과시 10매마다 2만원의 조판비를 지불해야 한다. |
||||||||||||||||||||||||||||||||||||||
|
|||||||||||||||||||||||||||||||||||||||
제9조 |
투고 논문은 다음 사항을 참고하여 작성한다. |
||||||||||||||||||||||||||||||||||||||
|
|
||||||||||||||||||||||||||||||||||||||
|
|||||||||||||||||||||||||||||||||||||||
제10조 |
투고 시 500자 내외(공백 제외) 분량의 국문 초록과 주제어 및 160-180 단어의 영문 초록과 Key words를 첨부하여야 한다. |
||||||||||||||||||||||||||||||||||||||
|
|||||||||||||||||||||||||||||||||||||||
제11조 |
주석의 경우, 참조주는 내각주로 처리하고, 내용주만 외각주로 처리한다.
< 예시 > |
||||||||||||||||||||||||||||||||||||||
|
|||||||||||||||||||||||||||||||||||||||
제12조 |
1) 참고문헌은 본문에서 인용한 문헌만을 배열한다. |
||||||||||||||||||||||||||||||||||||||
|
① 논문 ⅰ) 학술지에 실린 논문:저자(연도), 논문 제목, <학회지명>(기관명) 호수, 페이지. 〈학회지명〉(기관명) 호수, 페이지. 김창원(2013), 국어교육 내용으로서의 '실제', 〈새국어교육〉(한국국어교육학회) 제98호, 7-34. Kim, C. W. (2013), 'Actuality'
as the Content of Korean Language Curriculum, Korean Education 99, 7-34. ⅱ) 단행본에 실린 논문:저자(연도), 논문 제목, 박아무개(편), 〈저서명〉(국, 발행지:출판사, 페이지. 예) 원저에 영문이 표시된 경우 홍길동(2005), 표준발음교육, 김승태(편), 〈한국어교육론〉(국, 서울 : 역락, 101-120. Hong, G. D. (2005), Teaching of Standard Korean Pronunciation, In Kim, S. T. (ed.), An Introduction to Korean Language Education, Seoul : Youkrack, 101-120. ⅲ) 학술대회 발표 논문:저자(연도), 논문 제목, 〈학술대회명〉(기관명), 페이지. 예) 원저에 영문이 표시된 경우 민병곤(2014), 표현교육의 확장과 통합, 〈제124차 한국국어교육학회 학술대회 발표집〉(한국국어교육학회), 11 ⅳ) 학위논문 : 저자(연도), 논문 제목, 대학명 학위명. 예) 주세형(2005), 통합적 문법 교육 내용 설계의 원리와 실제 연구, 서울대학교 박사학위논문. Joo, S. H. (2005), The Principles and practices of syllabus design in the integrational grammar eduction, Doctoral Dissertation, Seoul National University. ② 저서:저자가 3인까지는 저자의 모든 이름을 밝히고, 4인 이상일 경우 '이○○ 외 3인'으로 표시한다. 예) 원저에 영문이 표시된 경우 박승윤(2011),〈언어학과 언어사용에 대한 다면적 접근〉 , 서울 : 한국문화사. Park, S. Y. (2011), Multiple Approaches to Linguistics and Language Use, Seoul : Hankook Publishing.
|
||||||||||||||||||||||||||||||||||||||
|
5) 영문 등 기타 외국어의 경우 ① 논문 ⅰ) 학술지에 실린 논문:저자명 (연도), 논문명, 저널명(이탤릭체) 호수, 페이지.(연도 앞에 한 칸 띄움). 예) Met, M. (1991), Learning Language through Content, Foreign Language Annals 24(4), 281-295. ⅱ) 단행본에 실린 논문:저자명 (연도), 논문명, 편저자명, 서명(이탤릭체), 출판지:출판사, 페이지. 예) Rizzi, L. (1994), Early Null Subjects and Root Null Subjects, In Hoek, T. & B. Schwartz (eds), Language Acquisition, Amsterdam:John Benjamins, 151-177. ⅲ) 학술대회 발표 논문:저자명 (연도), 논문명, 학술대회 발표논문집, 페이지. 예) Kim, S. T. (2012), The Spelling Morpheme in Modern Korean, Proceedings of 2012 International Conference of ⅳ) 학위논문:저자명 (연도), 논문명, 학위명, 대학명. 예) Harley, H. (1995), Subjects, Events and Licensing, Doctoral Dissertation, MIT. ② 저서 ⅰ) 단독 저자:성, 이름 (연도), 저서명(이탤릭체), 출판지:출판사. 예) Chomsky, N. (1995), The Minimalist Program, Cambridge, MA:MIT Press. ⅱ) 공동 저자:저자가 2인인 경우 저자 사이에 '&'를 표시하고, 3인 이상인 경우에 마지막 저자 앞에 '&'를 표시한다. 예) Fox, W. & M. Taylor (1995), Writing Literacy, Amsterdam:John Benjamins.
Ritchie, G. D., G. J. Russel, A. W. ⅲ) 편저인 경우:저자명 다음에 '(ed.)'로, 둘 이상일 경우에는 '(eds.)'로 표시한다. 예) Cole, P. & S. Sadock (eds.) (2001), Syntax and Semantics, New York:Academic Press. ⅳ) 번역서인 경우:원저의 서지사항과 번역서의 서지사항을 모두 적는다. 예) Gibs, R. (1994), The Poetics of Mind, Cambridge, MA:Cambridge University Press. 나익주 역(2003), 5) 인터넷 자료인 경우:제작자(연도), "자료명", 인터넷 주소(검색일) 순으로 표시한다. 예) 김○○(2012), "해외한국어교육 교원 네트워크", http://ke.kflkorea.org(2012.5.10) |
||||||||||||||||||||||||||||||||||||||
|
|||||||||||||||||||||||||||||||||||||||
제13조 |
모든 그림과 표에는 이름을 단다. 그림의 이름은 하단에, 표의 이름은 상단에 [그림 1], [표 1]과 같이 표기한다. |
||||||||||||||||||||||||||||||||||||||
|
|||||||||||||||||||||||||||||||||||||||
제14조 |
내용의 수정을 요하는 경우가 아니면 교정쇄를 필자에게 다시 보내지 않으므로, 최초 투고 시 교정이 완료된 논문을
|
||||||||||||||||||||||||||||||||||||||
|
|||||||||||||||||||||||||||||||||||||||
제15조 |
학위 논문 및 이미 발표된 논문의 일부를 주 내용으로 하여 투고할 수 없다. |
||||||||||||||||||||||||||||||||||||||
|
|||||||||||||||||||||||||||||||||||||||
부칙 |
이 규정은 2005년 1월부터 시행한다. 이 규정은 2007년 1월부터 시행한다. 이 개정 규정은 2013년 1월부터 시행한다. 이 개정 규정은 2014년 1월부터 시행한다. 이 개정 규정은 2014년 7월부터 시행한다. 이 개정 규정은 2015년 1월부터 시행한다. 이 개정 규정은 2017년 9월부터 시행한다. 이 개정 규정은 2017년 10월부터 시행한다. 이 개정 규정은 2018년 9월부터 시행한다. 이 개정 규정은 2020년 10월부터 시행한다. |
||||||||||||||||||||||||||||||||||||||
|
|||||||||||||||||||||||||||||||||||||||
한국국어교육학회 논문 작성 샘플 다운받기[DOWNLOAD] |